우리의 일상에서 스마트폰은 필수입니다. 그런 스마트폰을 한번 계약하면 최소 18개월 이상은 계약을 유지함으로 우리의 잘못된 선택이 큰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SK, KT, LG U+, 알뜰폰 등 우리에게 선택의 폭이 많을지라도 대리점이나 온라인 사이트에서 알려주는 않는 팁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1. 스마트폰 구매방법 & 교체 시 서류작성 팁
2. 스마트폰 할인 혜택
3. 스마트폰 요금제 관리
4. 기타
5. 에필로그
1. 스마트폰 구매방법& 교체 시 서류 작성 팁
(1) 직접 확인한 내용만 사인하십시오.
요즈음은 대리점에서 판매원들이 설명하고 난 후 계약 시에 서면이나 태블릿 PC에 사인을 합니다. 그때에 설명한 금액의 기기값인지, 요금제인지 서면은 서면 내용 전반을 확인한 상태에서 사인하고, 태블릿 PC라면 태블릿 PC의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서면 내용만 믿고 태블릿 PC의 내용을 확인하지 않고 사인을 하게 되면 나중에 요금이나 기기값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시 지원금을 받은 경우(기기값 할인받는 경우)는 6개월간, 선택 약정할인(요금제 할인 25%)은 3개월간 계약 시 대리점이 요구하는 초기 요금제를 유지해야 합니다.
(2) 대리점 판매원(팀장, 직원들)이 말하는 각종 혜택은 계약서류에 기록해달라고 하십시오. 온라인 사이트는 비대면으로 더 꼼꼼히 읽고, 확인이 필요합니다. 부가 서비스 가입조건 시에 오히려 손해를 볼 수 있음으로 유의하십시오.
판매원들이 요금제를 설명하면서 고객님께만 특별히 드리는 혜택이라고 혜택들을 약속합니다. 그런데 그 약속의 경우는 말 그대로 말로 넘어가는 경우들이 많기에 계약서 명시해달라고 요구하십시오. 계약서 빈칸에 보조금 금액, 케이스 서비스, 보조배터리 증정, 강화유리부착 등 사소한 것들이라도 말입니다.
(3) 새로 구입하는 스마트폰 기기값과 현재 소유한 스마트폰 기기 잔여할부금을 반드시 집고 넘어가십시오.
스마트폰 할부금이 남았는데 맘에 드는 새 스마트폰이 등장할 경우, 일부 대리점에 잔여할부금을 정리해주겠다고 하면서 새 스마트폰 구매를 유도합니다. 만약 이런 경우는 계약서에 언제까지 할부금을 정리해줄 것인지 명확한 일자와 금액을 기록을 요구하고 확인하십시오. 스마트폰 잔여할부금이 남았는데 새 스마트폰을 구매하는 것은 무리한 과소비임으로 지향하는 게 좋을 듯싶습니다.
(4) 대리점이나 온라인 계약 시 그다음 날에 고객센터(SK, KT, LG U+, 알뜰폰 등)에 계약 내용을 확인하십시오.
대리점이나 온라인 계약 다음날 고객센터(앱으로도 확인 가능) 계약의 대리점에서 계약대로 스마트폰 할부금과 요금제, 부가서비스를 확인하십시오.
기기 카드 할인으로 스마트폰을 구입할 때 놓치지 말아야 팁은 기기값 할부가 몇 개월이고, 할부로 완전히 기기값이 해결되느냐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짜리 스마트폰을 구입 시 카드 할인으로 묶을 경우 약정 기간이 끝나고 몇십만 원의 기기값이 남는다는 걸 대리점에서 알려주지 않습니다. 공시 지원금으로 기기값을 할인받고 나머지를 카드 할인으로 결합해도 기기값이 남는 경우도 있음을 놓치지 마세요. 이런 경우에 스마트폰 공짜라고 과대광고를 합니다. 이때에 통신요금 할인을 받지 못합니다. 따라서 나는 기기값 할인과 요금제 둘 중에 어떤 할인이 더 좋은지 선택해야 합니다. 동시에 공시 지원금과 선택 약정할인 25%를 해주지 않습니다.
2. 스마트폰 할인 혜택
각 통신사별로(SK, KT, LG U+, 알뜰폰 등) 할인 혜택이 다양하지만 결국 생색내기 혜택입니다. 그런데 혜택마저 챙기지 않으면 불필요한 요금이 지출됨으로 할인 혜택을 챙기십시오. 절대 알아야 해주지 않습니다.
할인 기본 패턴은 아래 세 가지입니다.
(1) 공시 지원금과 선택 약정 25% 할인 중 선택하십시오.
스마트폰 구매할 때에 결정되면 최소 18개월 이상을 그대로 사용해야 하므로 잘 비교해서 선택하십시오. 대리점 판매원들이 추천하는 대로 하지 마시고 시 지원금 받을 때 얼마 할인받는가? 선택 약정받을 때 얼마 할인받는가? 물어보고 결정하십시오. 여기까지는 일반적으로 대리점에서 알아서 해주고 있습니다.
(2) 유무선 스마트폰 결합할인(인터넷 결합), 둘 이상 가족들 결합 시 결합할인, 장기고객 할인입니다.
통신사별로 혜택의 이름이 다르지만 이 부분은 가입하는 본인이 챙겨야 할 부분입니다. 가족 중에 내가 가입한 통신사가 있는지 확인하고 묶어달라고 요구해야 합니다.
따라서 내가 쓰고 있는 인터넷과 연결된 스마트폰을 가입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카드 할인입니다.
대리점은 자신들에게 배당이 많은 카드사를 소개함으로 본인이 직접 대리점 판매원들에게 카드사별 할인을 물어보고 선택하셔도 됩니다.
3. 스마트폰 요금제 관리
우리가 그냥 확인하지 않고 넘어가는 부분들입니다. 매달 나오는 스마트폰 요금서를 확인하는 분들은 의외로 적습니다. 내 요금제가 얼마인지도 인식하지 않는 채, 불필요하게 비싼 요금제를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가입 시에 대리점에 3개월이나 6개월 유지를 요구하는 요금제(부과서비스)를 다음 스마트폰 교체까지 쓰는 사례들도 종종 있습니다. 대리점에서 약정기간 요금제를 쓰고 나서 알아서 교체해준다고 하지만 해주는 않는 사례들이 종종 있습니다.
따라서 내가 일정 메모를 해주었다가 3개월이나 6개월 후에 대리점이나 고객센터(앱으로 확인 가능)에 직접 확인하세요. 귀찮더라도 매달 나오는 요금내역을 확인하는 건 필수입니다. 실수로 사용하지도 않는 요금들이 종종 부과되는 사례들도 있습니다.
4. 기타
한 가지 또 다른 방법은 스마트폰을 서비스센터랑 함께 운영하는 매장에서 직접 공기계를 구매하는 것입니다. 이는 내가 직접 스마트폰 공기계를 구매해서, 사용할 요금제를 결정하고, 할인 혜택을 챙기고, 카드사 할인을 결정합니다. 이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혜택이 적을 거라는 착각을 합니다. 대리점이 아니라 삼성, LG 등 서비스 센터에서 운영하는 매장이나 온라인을 통해서 공기계를 구매한 후에 하면 됩니다.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내가 원하는 공기계를 매장에서 구입한 후에(할부 가능) 매장 담당자에게 처리를 요구하거나 내가 사용 중인 통신사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하시면 됩니다.
5. 에필로그
우리는 대리점에 무조건 맡기는 실수는 이제 그만해야 합니다. 스마트폰 개통이나 요금제를 대리점에 무조건 맡기는건 내 지갑이나 통장의 일부를 무조건 맡기는거나 다를바 없습니다. 그 이유는 불필요한 기기값과 요금제를 지불할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스마트폰 기기값을 정확히 확인하시고, 할부금과 요금제를 합친 월요금이 얼마인가를 해당 통신사 고객센터나 앱을 통하여 꼭 확인하십시오. 그리고 앞에서 말씀드린 할인 기본 패턴을 적용해서 할인받으시고, 불필요하고 비싼 요금제를 쓰지 말고 적합한 요금제를 선택해서 쓰십시오.
스마트폰 공짜는 없습니다. 오늘 하루 스마트폰을 즐겁게 사용하세요.